7월1일부터 헬스장, 수영장 이용료 30% 소득공제 가능
다음 달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에도 연 30% 소득공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는 7월 1일 이후 결제된 이용료의 30%를 연간 최대 300만 원 한도 내에서 돌려받을 수 있어요.
🏋️♀️ 적용 대상 & 소득공제 범위
-
대상 시설: 전국 1,000여 곳 등록된 헬스장 및 수영장
-
소득 기준: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만 해당
-
공제율:
-
기본 시설 이용료(일·월 단위) 및 운동복·수건 등 대여료는 전액 30% 공제
-
퍼스널 트레이닝, 수영 강습 등 프로그램 포함 시 **이용료 중 50%**만 공제
-
음료·운동용품 등은 공제 대상 외
-
🎯 왜 놓칠 수 없는 혜택일까?
1. 운동비 부담 줄이기
-
헬스장, 수영장과 같은 체육시설 이용비는 꽤 큰 부담이었죠. 이제 연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로 돌려받으니 경제적 부담이 줄어요.
2. 국민 건강과 산업 활성화
-
정부는 "국민의 체육 활동 부담을 줄여 건강을 증진하고, 스포츠 산업에도 활력을" 준다는 취지로 확대 적용했다고 밝혔어요.
3. 문화비 소득공제 범위 확대
-
이전에는 공연, 영화, 도서, 박물관 등에만 해당했지만, 이번부터는 체육 분야까지 확대된 첫 사례예요.
📋 소득공제 쉽게 받는 방법
-
7월 1일 이후 헬스장 또는 수영장 이용 후 결제
-
영수증 및 카드 사용 내역 등 지출 증빙 확보
-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제출 (공제 대상 항목만 포함)
-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대상 시설 확인, 신규 등록 신청 가능
✅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항목 | 설명 |
---|---|
💡 소득 기준 |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여부 |
🏷️ 시설 등록 확인 | ‘문화비 소득공제’에 등록된 헬스장·수영장 확인 |
📅 결제 시점 | 7/1 이후 결제분만 대상 |
🧾 지출 증빙 | 영수증, 카드 내역 등 보관 |
🧳 공제 한도 |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
✅ 팁 & 주의사항
-
PT·수영강습 포함 시 일부 항목만 공제되니, 영수증 항목을 잘 확인하세요.
-
운동용품, 음료 구매비 등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
누리집에서 등록 시설 확인하고, 필요 시 사업자 등록 유무도 체크해보세요.
💡 정리하면
다가오는 7월 1일, 헬스·수영장 이용료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날입니다. 연 최대 300만 원 소득공제! 이제 운동하며 건강도 챙기고, 지갑도 가볍게 챙기는 똑똑한 선택 어떠세요?
📌 관련 정보 더 보기
-
문화비 소득공제 지원 시설 리스트와 등록 방법은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
대상 시설 여부나 공제 신청 관련 궁금한 점은 해당 누리집에서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어요.
2025년 여름, 건강도 지키고 세금 혜택도 받고! 지금 바로 헬스장 또는 수영장 등록하고, 7월부터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