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절반이 하락한 지역이 있다?

"인천의 강남"이라 불리던 송도의 급격한 하락세

송도국제도시는 한때 “인천
의 강남”으로 불리며 고공행진을 이어갔으나, 2022년 이후 대출 규제·금리 인상·공급 과잉이 맞물리며 집값이 최고가 대비 절반 이상 하락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보면 ‘더샵송도 마리나베이’ 전용 84㎡는 2022년 12억4500만원에서 2025년 5월 5억9500만원으로, ‘e편한세상송도’ 전용 84㎡는 2021년 10억7500만원에서 6억3500만원까지 떨어져 최고가 대비 48~88% 수준으로 상대적 회복세를 보입니다 .
하지만 올해 3,774가구, 2027년 2,041가구, 2028년 3,958가구 등 막대한 입주 물량이 예정돼 있어, 단기간 내 전반적 가격 반등은 어려울 전망입니다 .

1. 송도 집값 침체 현황

1.1 실거래가 하락폭

  • 더샵송도 마리나베이(84㎡): 2022년 12억4500만원 → 2025년 5월 5억9500만원 (48%)

  • e편한세상송도(84㎡): 2021년 10억7500만원 → 6억3500만원 (59%)

1.2 전체 평균 하락 추정

  • 8공구 전체: 최고가 대비 50~60% 수준으로 거래 .

2. 입주 과잉과 수요 정체

2.1 과잉 공급

  • 2025년: 3,774가구 입주 예정 (적정수요 2,021가구 )

  • 2027년: 2,041가구, 2028년: 3,958가구 추가 물량 .

2.2 수요 부진 요인

  • 대출 규제 강화·금리 상승으로 매수세 위축

  • 재택근무 확산 등으로 교외 선호도 하락 관측 .


3. 일부 지역의 회복 조짐

3.1 1공구·3공구 강세

  • 송도더샵하버뷰(D14, 116㎡): 2021년 13억 → 8억9500만 → 현재 11억4000만원 (87%)

  • 송도더샵마스터뷰(125㎡): 최고 13억3000만 → 현재 11억8000만원 (88%)

3.2 지역별 호재

  • 1공구: 채드윅·포스코 자사고 학군, 커넬워크 상권

  • 3공구: 예정된 GTX-B 노선 호재 .

4. 송도 집값 상승 확산 패턴 vs. 미확산

  • 강남 3구 → 분당·수지·기흥 → … → 송도 노선으로 확산 가능성 제기 .

  • 다만, 광명·시흥·송도 구간에서는 아직 본격적 상승세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5.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5.1 단기 전망

  • 공급 폭탄이 지속되므로, 2026년 전반까지 전반적 가격 회복은 요원

  • 1·3공구 등 교통·학군 우수 단지에 한정적 투자 고려

5.2 중장기 전망

  • GTX-B 개통(예정), 바이오 산업 클러스터 강화 호재는 여전 .

  • 수요 유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분할 매수 전략 권장

결론적으로 송도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는 당분간 현재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 호재들을 감안하면 미래 가치를 감안하여 매매를 결정하는 것이 옳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들 건강한 부동산 거래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